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46
  • 2474948
조회 수 28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다.

 

그래서광해에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다.

 

육안으로 구상성단처럼 보이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우리나라에서 이제 더 이상은 볼 수가 없다

 

그렇다고 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 M7, 검은 종이에 젤리펜 조강욱 (2016) ]

M7.JPG

 


친근한 K자 모양도 같이 (왼쪽은 7번, 오른쪽은 친구인 6번의 스타체인이다)

7 스타체인.JPG


  

또한 그저 평온한 크고 성긴 산개성단인줄 알았던 7번에서도 구상성단과 암흑성운산개성단을 같이 볼 수 있다.


스카이 사파리를 돌려봐도 다양한 종류의 대상들이 겹쳐 보인다


폰화면.png  



은하수 중심 방향이라 요란한 별들의 향연을 피해 갈 순 없는 것이다


아래 사진에선 구상성단 6453, 산개성단 6444를 7번의 지근거리에서 찾을 수 있고, 


7번 아래쪽에는 K자 스타체인의 데자뷰인 듯한 K자 암흑성운이 자리해 있다

 

M7근처.jpg 

(출처 : http://asbalcony.cocolog-nifty.com/photos/uncategorized/2013/06/02/20130504_m764446453.jpg) 

 


그리고 여기엔 무시무시한 도전 대상이 숨어 있다.

 

별상 이상으로는 분해되지 않는 행성상성운 3개인데..

 

국내에는 야간비행 이한솔님이 2013년에 18인치로 벗고개에서 관측한 최초이자 유일한 기록이 있다.

 

(아래 === 안의 글은 이한솔님의 관측기록이다. 자료사진은 윤정한님 블로그에서 발췌)


=========================================================================================


자세히 뜯어보면 M7도 M24 못지않게 복잡하고 관측 포인트가 많은 대상인 것 같습니다. 다만 고도가 더 낮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자세히 관측하기가 힘든 것 같습니다.

 

그동안 M7 내부에서 산개성단, 암흑성운, 구상성단등은 관측한 적이 있었지만 행성상 성운은 관측하기 힘들었는데 이날은 남쪽하늘이 좋아서 준비해간 자료로 도전해 봅니다.

먼저 Cannon 2-1(PN G356.2-04.4), 12등급 2초각으로 찾기에는 가장 쉬웠습니다. 다만 완벽한 별상이라는 것!! 검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어야하고

 

필터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필터가 없을 때는 별과 구분 할 수 없었으나 uhc를 끼우면 반짝임을 잃고 뭔가 별과는 달라 보입니다.

 

PK356-04_1-adhara.jpg  

 

 

 

다음은 Hoffleit 2-1(PN G355.4-04.0), 유일하게 행성상 성운처럼 보입니다, 10초각의 원반형이고 uhc 필터를 끼우면 매우 흐리게 보입니다.

 

PK355-04_1-adhara.jpg

 

 

 

마지막 Minkowski 1-30(PN G355.9-04.2) 15등급 5초각이어서 검출이 매우 힘듭니다..

 

사진을 참고해서 찾다보면 광채를 잃은 매우 흐린별..

 

PK355-04_2-adhara.jpg

 

이번 경험으로 보아서는 관측지, 하늘상태, 구경 모든 게 받쳐줘야 할 것 같습니다. 필터는 uhc가 유리한 것 같구요,...



=========================================================================================


 

 

하늘을 보는 즐거움 중에 하나는,

 

남이 많이 보지 않은 대상에 도전하는 호기심과 성취감이다.

 

마치 눈 덮인 벌판에 가장 먼저 발자국을 내는 것 같은 기분 말이다





                                                      Nightwid 無雲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M72] 얼굴 보기 힘든 성단 조강욱 2017.07.16 2413
64 [M73] 뭐! 왜! 조강욱 2017.07.17 11787
63 [M74] 가장 어려운 메시에 대상 1 조강욱 2017.08.01 2670
62 [M75] 이유 없는 집착 조강욱 2017.09.10 2251
61 [M76] 한 마리 나비를 찾기 위하여 1 조강욱 2017.09.25 2426
60 [M77] 너의 정체는? 조강욱 2017.10.07 1905
59 [M78] 열대어는 어디에서 왔을까? 조강욱 2017.11.18 1644
58 [M79] 한 마리 올챙이를 찾기 위하여 조강욱 2017.11.30 1478
» [M7] 의도치 않은 요란한 축제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4 2852
56 [M80] 형만한 아우 있다 (2) 조강욱 2017.12.13 1915
55 [M81] A급 관측지 찾기 조강욱 2017.12.18 1361
54 [M82] 은하 전체보다 더 밝은 별 하나 조강욱 2018.01.02 1707
53 [M83] 환상속의 그대 조강욱 2018.01.14 1162
52 [M84]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조강욱 2018.01.18 1486
51 [M85] 처녀자리 은하단의 문지기 조강욱 2018.01.30 1342
50 [M86] 쓸데없는 집착 조강욱 2018.02.02 1217
49 [M87] 이 구역의 대장은 누구? 조강욱 2018.02.10 1200
48 [M88] T에서 왼쪽으로 조강욱 2018.02.18 1361
47 [M89] 너의 본 모습 조강욱 2018.03.25 1105
46 [M8] 근데 석호성운은 왜 석호일까? 4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7 40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