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30
  • 2478289
조회 수 56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메시에 1번부터 50번 사이에, 은하는 단 4개 뿐이다

31번 안드로메다 대은하와 그 위성은하 중 하나인 32번, 거대한 face-on 은하 33번이 그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49번. 처녀자리 은하단의 끝자락에 위치한 타원은하다

31, 32, 33번이야 워낙 이름값이 있는 애들이라 쳐도,

49번은 왜 이 자리에? (대부분의 처녀자리 은하단 애들은 80~90번대에 몰려 있다)

특별한 모양도 특출난 밝기도 가지지 못한 그저 비슷비슷한 타원은하일 뿐인데 말이다


보다가 지치는 산개성단 중공군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타원 아이들.

하지만 Pale blue dot을 보고 칼 세이건이 만들었던 명문처럼,

저 안에서도 수많은 문명과 전쟁과 사랑이 있겠지.. (참조 Link : http://me2.do/GSwJudyB)


그저 뿌연 솜사탕 뭉치로 보이는,

사람 키만한 망원경으로 봐도 흐릿하게만 보이는

저 희미한 49번 안에도 말이야.


그 솜사탕을,

물리적으로 아무런 관련도 없을 우리은하 내의 별들과 또 다른 은하와 함께

파스텔과 젤리펜을 이용하여 작은 종이에 옮긴다

그 수많은 문명과 전쟁과 사랑도 함께.



[ M49,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으로 조강욱 (2016) ]

M49.JPG




                                                    Nightwid 無雲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뉴질랜드에서의 First Light 조강욱 관측부장 2017.03.18 3699
64 [M26] 소외받는 고추잠자리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17 3723
63 [M15] 우주의 평화(Pease)를 찾아서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08 3726
62 [M13] 착한 사람에게만 보이는 프로펠러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04 3851
61 [M27] 별보기는 감질맛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22 3867
60 [M28] 형만한 아우 있다 (1)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25 3896
59 [M57] 밤하늘의 성자 2 조강욱 관측부장 2017.02.16 3949
58 [M8] 근데 석호성운은 왜 석호일까? 4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7 4036
57 [별보기의 즐거움] 천체관측이란 무엇일까? (별쟁이의 일상으로 ... 1 조강욱 관측부장 2017.03.22 4144
56 [M30] Star chain의 예술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02 4155
55 [M29] 이젠 친해지길 바래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27 4306
54 [M32] 대체 어디 있는거야?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11 4389
53 [M51] 세상의 가장 먼 결정적 순간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29 4555
52 [M33] 정면은하를 보는 방법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12 4566
51 [M31] 우리의 개념의 고향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10 4618
50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7. 6일차(오슬로-스발바르) : 뭉크... 조강욱 관측부장 2015.06.08 4745
49 [M52] 네가지 없는 성단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29 4758
48 [관측기] 태양아 놀자 (태양 관측의 매력은?) 2 조강욱 관측부장 2015.11.20 4969
47 [M34] 천체사진전의 比사진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17 4985
46 [M35] 겨울 하늘의 최강 성단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19 49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