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71
  • 2478678
조회 수 52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매년 설과 추석은 별쟁이들에겐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추석은 항상 보름이니 Clear sky를 기원하며 달을 보며 소원 빌고,


[ 14년 추석, 울산에서 - 갤노트 터치펜과 Sketchbook app으로 조강욱 (2014) ]
14_140908 소원(14추석)_월령14.jpg


설은 항상 그믐이고 연휴이니 또 하나의 관측 찬스!

결혼 전에는 이 찬스를 놓친 적이 별로 없었는데..

울산에 처가를 둔 이후로는 쉽지 않았다


그래도 날씨가 좋으면 울산 별쟁이들과 연락해서 맨손으로 나가 보기도 했는데..

2012년에는 아예 망원경을 차에 태워서 갔다

그 댓가로 10시간을 차 안에서 딸래미의 원성을 들어야 했지만..


울산 시내의 처가에서 잠시 쉬다가

무지개님이 먼저 기다리고 있는 울산소방항공대로 향했다

망원경은 가져왔는데,

10시간의 운전으로 정신은 이미 M31로 떠난 상태..

차 안에서 1시간을 넘게 다시 자다가 겨우 정신을 차리고

마차부자리를 겨누어 한 대상을 잡고서 

흰 종이에 점을 찍는다 


[ M36 - 흰 종이에 샤프, 울산 소방항공대에서 조강욱 (2012) ]
M36_Ori_120124.jpg


작은 성단을 한참을 찍다 보니

성단 중앙의 별들이 모여 궁수자리를 이룬다

M36_Des_120124.jpg



북위 37도에서는 남쪽 광해를 뚫고 보아야 할 꽤 귀한 궁수를 M36 안에서 찾고서는 

한참을 보고 있다 보니

어릴때 보던 만화 주인공이 떠오른다

'돈데 기리기리 돈데 기리기리~~~ 돈데크만!'

M36_Des_don.jpg 


지금 생각하면 일본색이 짙은 주문일 뿐이지만..

그것도 추억의 일부이니.

대학 시절, 여름 밤의 관측회에서 '돈데크만 자리'를 찾으며 

풀밭에서 잠이 들던 기억이 어렴풋이 떠오른다


종종 별 보는 것으로 강연을 할 일이 있었는데

10대 학생들에게 위 그림을 보여주면 당연히 돈데크만이 무엇인지 모른다

30대 이상 선생님들만 공감한다는..


항상 보고 싶지만 그 속살을 잘 허락하지 않는 애증의 구역.

남위 37도에서는 그토록 쉽게 하늘 꼭대기에서 보이는데...

다만 돈데크만이 뒤집어져 있다. 

잘은 보이지만 거꾸로 보이니 

오랫동안 찾던 그 대상이 정말 맞나 낯설게만 느껴진다






                             Nightwid 無雲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5 [M27] 별보기는 감질맛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22 3867
84 [M13] 착한 사람에게만 보이는 프로펠러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04 3851
83 [M15] 우주의 평화(Pease)를 찾아서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08 3726
82 [M26] 소외받는 고추잠자리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17 3723
81 뉴질랜드에서의 First Light 조강욱 관측부장 2017.03.18 3699
80 [M54] 따로 놀기 조강욱 관측부장 2017.02.10 3688
79 [M55] 마라톤의 쪼는 맛 조강욱 관측부장 2017.02.11 3679
78 [M17] 많이 보기 vs 잘 보기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14 3660
77 [관측기] 바보처럼 별을 보는 방법 (마지막 메시에 스케치 관측기록) 4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6.07.12 3660
76 [M11] 우주의 가장 아름다운 비행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31 3641
75 [M20] 삼렬이 대체 무슨 뜻이야?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23 3632
74 [M58] 처녀의 전설 조강욱 관측부장 2017.02.24 3578
73 [M56] 작은 성단의 거대한 V 조강욱 관측부장 2017.02.14 3575
72 [M21] 다이아 반지, 아니면...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28 3506
71 [M1] 천년의 빛 4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16 3482
70 [M24] 성운도 성단도 아닌 무언가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06 3471
69 [M18] 작은 모종삽 하나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16 3464
68 [M22] 여러분의 22번은 무엇입니까?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04 3327
67 [M25] 크레바스에 빠지다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15 3301
66 [M23] 아침이 오기를 바란 이유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0.04 328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