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33
  • 2478396
조회 수 45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09년 가을 어느날의 천문인마을은 너무나도 맑았다

그리고 지난번 글에서 떠든 주변시도 필요 없이 굵은 나선팔들이 너무 쉽게 휙휙 돌았다

언제 다시 이런 33번을 또 볼 수 있을까


하나 문제는, 내 실력이 그 나선팔을 표현할 정도가 아직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의 두번째 스케치)

세시간을 투자했지만

결국 내가 본 은하와는 전혀 닮지 않은 나선팔 두 줄기만 겨우 그렸을 뿐..


(Description)


언젠가 다시 그려야지... 했던 것을 

2015년이나 되어서야 다시 만나보게 되었다

6년 전만큼 좋은 날씨는 아니어서

아이피스로 잡아서 본 33번은 그냥 허여멀건한 솜뭉치 하나..

걱정 가득한 한숨이 나온다

이걸 언제 사람.. 아니 은하 만드나

내 막대세포의 숨은 능력을, 스케치의 힘을 그저 믿어볼 수밖에.


주변 별들과 은하의 큰 줄기들을 하나씩 잡아가다 보니

나선팔의 작은 줄기들과 M33 내의 성운들이 모습을 보인다


[ M33,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으로 조강욱 (2015) ]
3000_33.jpeg





얼마나 제대로(?) 그렸는지는 아래 자료사진과의 비교로 대체 

(사실 나도 대조해 보지 않았다)

pic.jpg


나선팔의 디테일은 관측 시간에 비례한다.

별을 보는 일은 정직한 활동이다

아는 만큼 보이고

오래 보는 만큼 더 많이 보인다



그리고 오랫동안 주변시로 보지 않아도,

남위 36도의 이 곳에서도 

직선거리로 12,000km 떨어져 있는 광화문 광장에서

은하수처럼 촛불이 빛나는 모니터 속의 풍경은 눈물이 나도록 생생하고 

또렷하게.. 관측할 수 있었다




                                                             Nightwid 無雲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M68] 엄마와 아기 조강욱 2017.05.21 2884
44 [M69] 멋내지 않아도 멋이 나는 성단 조강욱 2017.06.03 2464
43 [M70] 은은하게 그러나 다르게 조강욱 2017.06.24 2325
42 June 17 세 번의 강연과 두 번의 공관, 한 번의 관측 조강욱 2017.07.02 2679
41 [M71] 구산...개 성단 조강욱 2017.07.09 2809
40 [M72] 얼굴 보기 힘든 성단 조강욱 2017.07.16 2413
39 [M73] 뭐! 왜! 조강욱 2017.07.17 11806
38 [M74] 가장 어려운 메시에 대상 1 조강욱 2017.08.01 2670
37 [M75] 이유 없는 집착 조강욱 2017.09.10 2251
36 [M76] 한 마리 나비를 찾기 위하여 1 조강욱 2017.09.25 2428
35 [M77] 너의 정체는? 조강욱 2017.10.07 1905
34 [M78] 열대어는 어디에서 왔을까? 조강욱 2017.11.18 1644
33 남반구의 전시회 조강욱 2017.11.25 1686
32 [M79] 한 마리 올챙이를 찾기 위하여 조강욱 2017.11.30 1478
31 [M80] 형만한 아우 있다 (2) 조강욱 2017.12.13 1915
30 [M81] A급 관측지 찾기 조강욱 2017.12.18 1361
29 [M82] 은하 전체보다 더 밝은 별 하나 조강욱 2018.01.02 1708
28 [M83] 환상속의 그대 조강욱 2018.01.14 1162
27 [M84]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조강욱 2018.01.18 1486
26 [M85] 처녀자리 은하단의 문지기 조강욱 2018.01.30 134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