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33
  • 2478203
조회 수 43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별에 미쳐서 공부도 안 하고 산과 들을 떠돌다가 

선동렬 방어율 수준의 학점을 받아들고 남들보다 빨리 군입대를 하게 되었다


논산 훈련소에서 박박 기고 있을 때도 

한달 뒤면 최전방에서 엄청난 은하수를 볼 꿈에 부풀어 있었는데

자대에 도착해보니.. 그곳은 용산 전쟁기념관 앞의 국*부 건물이었다


이게 뭐야..

서울의 우리 집보다 더 별이 안보이는 곳이었다

할 수 없지. 휴가를 모두 그믐에 맞추어서 휴가 때마다 메시에를 보았다

결국 99년 가을에 병장 휴가를 나와서 뱀주인과 염소 인근을 마지막으로 메시에 110개 완주에 성공했는데..


그로부터도 몇년 후, 학교 동아리 후배들에게 호핑을 가르치며 M31, 32, 110에 대해 설명하는데,

이건 31, 이건 110.. 하다 보니 그 사이에 있어야 할 32가 보이지 않는다.


후배들 앞에서 모양 빠지게 한참을 헤메고 있으려니, 

그동안 내가 110이라고 알고 있던 것이 32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10번은 한~~~참 멀리 떨어진 곳에....

1999년에 메시에 110개를 다 봤다고 말할 수가 없겠네..



잘 찍은 사진으로 보면

32번은 31번 안드로메다 은하의 별들에 폭 파묻혀서 보인다

지난주 별하늘지기 추천 게시물인 정병준님의 사진을 보자



그래서 처음 안드로메다를 보는 사람들은 31번의 Halo 안에서 작은 구슬(32)을 찾으려 하지만, 

안시관측으로는 31번과 32번은 가깝긴 하지만 떨어져 있다 


(조강욱 관측 스케치 부분확대)
cku_closeup.jpg


안드로메다에 비하면 위성은하 32는 아주 작은 구슬이긴 하지만 

또렷한 Starlike Nucleus(별상핵)를 가지고 있다


아 그리고 더 열심히 관측할수록, 더 큰 망원경으로 볼수록 31과 32의 거리는 더 줄어들게 된다

(빌리님 관측 스케치 부분확대)
kbs_closeup.jpg


가깝든 멀든 간에 우리는 우리 은하의 위성은하도 아닌

200만 광년 떨어진 외부 은하의 위성은하를 보고 있는 것이니

그것 만으로도 봐줄 가치는 충분히 있을 것이다







                                            Nightwid 無雲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 관심법(觀深法) #4. 산개성단 (3/4) - 나만의 +α (산개성단 놀이) 1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5.06 61874
144 [M45] 같은 대상을 보는 여러가지 방법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29 12290
143 [M73] 뭐! 왜! 조강욱 2017.07.17 11806
142 결정적 순간 #2. 2015 북극권 개기일식 & 오로라 (2편) 10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5.17 9299
141 관심법(觀深法) #6. 구상성단 (1/3) - 관측 Point 3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9.11 8041
140 관심법(觀深法) #2. 산개성단 (1/4) - 관측 Point 8 1 조강욱 관측부장 2014.02.18 7107
139 관심법(觀深法) #1. 예고편 7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1.18 6948
138 관심법(觀深法) #3. 산개성단 (2/4) - 유형별 추천대상 6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01 6924
137 [관측기] 서호주 #2. 별이불이 제일 따뜻해 4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12.08 6781
136 결정적 순간 #1. 2015 북극권 개기일식 & 오로라 (1편) 8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17 6752
135 [M44] 44와 친구들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9 6749
134 [M41] 2000년 전부터 성단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2 6667
133 [M39] 이젠 친해지길 바래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05 6631
132 [관측기] 서호주 #4. 자연의 창으로 우주를 바라보다 5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5.01.08 6601
131 [M43] 말보다 잘 통하는 것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9 6573
130 [M47] 또 하나의 이중성단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6 6531
129 [M48] 산개와 은하 사이 2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9 6503
128 [M42] 오리온 대성운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3 6452
127 [M46] 우주 최고의 Collaboration 2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4 6406
126 [M38] 어떻게 해야 성단이 최고로 반짝일 수 있을까?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28 63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