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63
  • 2478670
조회 수 363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삼렬삼열삼엽, Trifid, M20, 20..

 

삼렬성운이란 것은 대체 무슨 뜻일까?

 

무언가 궁금한 것을 참지 못하는 내가

 

궁금했다가 까먹고를 반복하다가

 

 

궁금한지 십여년만에 그 어휘를 네이버 사전으로 찾아 보았다

 

삼엽(이파리 세 개)의 오타가 굳어진 것일 거라는 확신으로 말이다

 

clover.jpg 

 

 

네이버 사전으로 찾아보니..


삼렬三裂의 뜻은 세 갈래로 분열하는 형태라는 것이다

 

영문 명칭인 Trifid도 마찬가지.

 

맞는 말이었네!

 

다만 요즘 세상에 잘 쓰지 않는 용어일 뿐.

 

 

처음 발견했을 때는 원래 삼렬이었는지,

 

아님 망경이 작아서 그것밖에 보지 못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삼렬성운은 사실 사열이다

 

아래 사진과 같이 확실히 4조각임

 

m20_block_big.jpg

(출처 : APOD 7 July 2019) 


 

그러나 안시로는 시상 좋은 날 대구경으로 봐야 겨우 보이는 구조.

 

조건이 모두 맞지 않으면 삼렬에 만족할 수 밖에...

 

삼열 맞네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조강욱 (2012) ]

M20_Ori.jpg

 

 

이 날 보현산 천문대(천문대 주차장 아님)의 하늘은

 

그저 그랬긴 하지만 나쁘진 않았다

 

다만 '사열'로 보인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는 것.

 

하늘 망원경 관측준비의 삼위일체를 이루지 못한 때문이다

 

 

나머지 꽃잎 하나를 보지 못한다 해도 세상이 무너지진 않겠지만

 

그걸 본다면 세상이 더 아름다워 보일 것이다.

 

 

☆ 관측 Point 

 

1. 성운을 세 갈래또는 (운과 정성이 따르면네 갈래로 가르는 역동적인 암흑대

 

2. 중심부의 돼지코

 

3. UHC 필터의 약발 감상

 

4. 붉은 성운 뒤의 파란색 성운기를 느낄 수 있는가? (아는 만큼 보인다)


M20_Ori.jpg

 

 





                                                       Nightwid 無雲


 

 

?
  • 김지훈 연수차장 2016.09.23 09:56
    중심부의 돼지코 라는 것은 모양이 비슷해서 비유를 한 것이지요??
    저는 암만 봐도 돼지코라는 느낌은 못 받아서요 ㅠㅠㅠㅠ

    그리고 네 갈래도 아직 보지 못했네요 ㅠㅠ

    대구경이라 함은 몇 인치 정도로 봐야 좋다는 말씀이신가요???
  • 조강욱 관측부장 2016.09.26 17:23
    네 진한 성운기 안의 일렬로 선 밝은 별 두 개가 돼지코 같아서요 ㅎ
    네갈래는 본문에 언급한 삼위일체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시상 좋은 하늘과 12인치 이상의 대구경 반사,
    그리고 사열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 그 형태를 미리 알고 보면
    볼 수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관측기] 맨눈과 함께 한 10월 (예천 연수, 관측대회 포함) 3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10.31 6038
24 결정적 순간 #3. 2015 북극권 개기일식 & 오로라 (3편) 6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5.02.20 6059
23 [M40] 메시에의 실수, 또한 나의 실수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06 6131
22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6. 5일차(나르빅-키루나) : 폭풍의... 4 조강욱 관측부장 2015.05.13 6177
21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10. 9~10일차(프랑크푸르트~한국) ... 4 조강욱 관측부장 2015.07.17 6272
20 [M38] 어떻게 해야 성단이 최고로 반짝일 수 있을까?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28 6362
19 [M46] 우주 최고의 Collaboration 2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4 6406
18 [M42] 오리온 대성운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3 6452
17 [M48] 산개와 은하 사이 2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9 6503
16 [M47] 또 하나의 이중성단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6 6531
15 [M43] 말보다 잘 통하는 것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9 6573
14 [관측기] 서호주 #4. 자연의 창으로 우주를 바라보다 5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5.01.08 6601
13 [M39] 이젠 친해지길 바래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05 6631
12 [M41] 2000년 전부터 성단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2 6667
11 [M44] 44와 친구들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9 6749
10 결정적 순간 #1. 2015 북극권 개기일식 & 오로라 (1편) 8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17 6753
9 [관측기] 서호주 #2. 별이불이 제일 따뜻해 4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12.08 6781
8 관심법(觀深法) #3. 산개성단 (2/4) - 유형별 추천대상 6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01 6925
7 관심법(觀深法) #1. 예고편 7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1.18 6948
6 관심법(觀深法) #2. 산개성단 (1/4) - 관측 Point 8 1 조강욱 관측부장 2014.02.18 71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