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10
  • 2478087
조회 수 32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보냈다

 

낮에는 천문대 알바 강사로 밥값을 하고,

 

밤에는 별이 안 보이면 촌장님과 술을 마시고

           별이 보이면 별을 그렸다

 

 

그래서며칠간 천문대 옥상 남쪽 하늘에서 뱀주인을 보며

 

구상성단 점들을 찍어보게 되었다

 

 

대체 어떻게 생겼을까 봐 줄 가치가 있는 것일까

 

그 얼굴들이 궁금하여

 

(쓸데 없을 만큼 좋은수채화 용지를 4분할하여 한 장에 그려 보았다

 


[ 모든 구상성단은 unique하다 - 천문인마을에서 조강욱 (2014) ]

unique.jpg

 

 

가오리 모양의 10,

Stat chain이 매력적인 12,

짧은 나선은하 같은 9..

 

대상마다의 특징을 잡아가다 보니

 

14번은 무슨 특징이 있을까 은근한 기대를..

 

 

아니 근데 이건 뭐지?

 

별도 없는 휑한 배경에 희미한 동그라미 하나가 을씨년스럽게 떠 있다

 

M14.jpg

 

 

혹시 구름이?

 

하늘을 쳐다봐도 아직 하늘은 정상인데

 

14번은 기대했던 모습과는 너무나 다르다

 

 

마치 벗고개에서 혼자 밤을 보낼 때의 으시시함과 비슷하다고 할까?

 

(음산한 터널 하나만 깊은 침묵 속에서 나를 지켜보는 그런 밤 말이다)

tunnel.jpg

 

 

특징이 없는 것도 특징이라 할 수 있을까?

 


구상성단 4개를 모아 보니 그 특성은 더욱 명확해진다

 

모든 구상성단은 unique하다.

 

(메시에 구상성단이라면 말이다)

 

 

관측 입문자들이 작은 구상성단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큰 공 작은 공 밝은 공 어두운 공 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구상크기밝기.JPG

 

 

다양한 구상성단들이 안시에서도 사진에서도 큰 인기가 없는 이유이기도 하고..

 

그것만은 아닐 거라는 생각에서 모자이크 스케치를 만들어 보았고

 

원하던 답을 찾을 수 있었다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독창적인 특징이 있다

 

그것을 찾아 보려는 노력을 아직 해보지 않았다면

 

새로운 기쁨을 누릴 가능성이 아직도 남아 있다는 것이니

 

이 또한 즐거운 일이다 ^^*

 

 

 

 

 

                                                           Nightwid 無雲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 관심법(觀深法) #4. 산개성단 (3/4) - 나만의 +α (산개성단 놀이) 1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5.06 61874
144 [M45] 같은 대상을 보는 여러가지 방법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29 12290
143 [M73] 뭐! 왜! 조강욱 2017.07.17 11806
142 결정적 순간 #2. 2015 북극권 개기일식 & 오로라 (2편) 10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5.17 9299
141 관심법(觀深法) #6. 구상성단 (1/3) - 관측 Point 3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9.11 8041
140 관심법(觀深法) #2. 산개성단 (1/4) - 관측 Point 8 1 조강욱 관측부장 2014.02.18 7107
139 관심법(觀深法) #1. 예고편 7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1.18 6948
138 관심법(觀深法) #3. 산개성단 (2/4) - 유형별 추천대상 6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01 6924
137 [관측기] 서호주 #2. 별이불이 제일 따뜻해 4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12.08 6781
136 결정적 순간 #1. 2015 북극권 개기일식 & 오로라 (1편) 8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17 6752
135 [M44] 44와 친구들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9 6749
134 [M41] 2000년 전부터 성단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2 6667
133 [M39] 이젠 친해지길 바래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05 6631
132 [관측기] 서호주 #4. 자연의 창으로 우주를 바라보다 5 1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5.01.08 6601
131 [M43] 말보다 잘 통하는 것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9 6573
130 [M47] 또 하나의 이중성단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6 6531
129 [M48] 산개와 은하 사이 2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9 6503
128 [M42] 오리온 대성운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조강욱 관측부장 2016.12.13 6452
127 [M46] 우주 최고의 Collaboration 2 조강욱 관측부장 2017.01.04 6406
126 [M38] 어떻게 해야 성단이 최고로 반짝일 수 있을까? 2 조강욱 관측부장 2016.11.28 63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