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자료실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31
  • 2478108
조회 수 785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삼각대에 비노홀더 연결

2.jpg

 

비노홀더에 쌍안경 연결

 3.jpg

핸드폰 거치대 연결

핸드폰 연결 후  구글스카이 맵을 이용하여 관측하면 초보자도 쉽게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4.jpg

이리듐 섬광 관측시  Hamt 탁상시계  앱을 이용하면 시각을 확인하기 편리합니다.

 

< 낮에 금성관측하기>

 

1. 맑은 날

2. 쌍안경, 비노홀더, 삼각대, 핸드폰 거치대, 핸드폰으로    위 그림처럼 설치한다.

3. 시야에서 가장 먼 곳의 물체를 이용하여 쌍안경의 초점을 맞춘다.

    달이 보이는 경우는 달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춘다.

4. 핸드폰이 탐색경이라 하고 탐색경 정렬을 한다.

5. 달이 있는 경우 달을 쌍안경으로 찾는다.

6. 핸드폰 거치대를 돌려서 핸드폰 구글스카이맵에서

    핸드폰의 중앙에 달이 오도록 탐색경 정렬 한다.

7. 쌍안경을 움직여 금성을 핸드폰 중앙에 오도록 쌍안경을 이동한다.

8. 쌍안경으로 관측한다

9. 쌍안경 시야에 금성이 없으면 좌우 상하를 이동하여 찾으면 된다.

    보통 시야 근처에 금성이 있다.

10. 달이 없는 경우 태양을 이용하여 탐색경 정렬을 한다.

      달과 같은 방법으로 정렬을 하는데 주위 할 점은 태양을 직접 눈으로 관측하면 위험하다

      이런 경우 손으로 접안부에 대고 손바닥에 태양의 밝은 빛을 확인하면서 찾는다.

11. 25x100 쌍안경은 작은 원으로 관측이 되고, 10x50은 밝은 점광원으로 관측된다.

 

2014. 8. 1. 8:00 

                         10x50, 25x100 쌍안경으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금성관측 

 

첨부 파일을 보세요

 

 

  • ?
    이혜경 2014.07.20 14:03

    저는 구글 스카이맵이 자꾸 틀리더라구요, 그래서 사용하지 않는데...

  • ?
    원치복 지부장 2014.07.20 14:59

    시선 방향에 직각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핸드폰 거치대를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 profile
    인천/김주영 2014.07.20 23:35

    그거 지자기 센서가 잘 안 맞아서 그래요.

    가능한 트인 곳에서 근처에 자기장에 영향을 줄만한 물체 없으면 잘 맞아요.

  • ?
    16-이강민 2014.08.13 13:00

    멋진데요!!! 한번 시도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개 자료실

불법 자료는 통보없이 삭제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 2017 deep sky hunter atlas 성도 2 file 원치복 고문 2017.11.11 3787
110 우주의 크기 확인하기 3 원치복 지부장 2012.02.13 4885
109 관측성도 만들기 1 file 원치복 고문 2017.03.19 5016
108 천문연구원에서 퍼온 소행성 2007TU24 자료 김민수 2008.01.29 5019
107 아래 sungrid 용지(최종) 1 file 김주영 2009.07.14 5039
106 2P/Encke 혜성 1 file 원치복 고문 2017.02.17 5052
105 2013 보름달과 근지점 2 원치복 지부장 2013.06.21 5108
104 2014년 달력입니다 2 file 원치복 지부장 2013.12.23 5125
103 NASA 제공 2008 달력입니다 2 file 김주영 2008.01.22 5146
102 여름날의 Deep-Sky (7월 관측부 모임 발표자료) 2 file 조강욱 2011.07.17 5157
101 4/10(금)~4/12(일) 국제우주정거장과 이리듐을 맨눈으로 관측해 보세요. 1 file 원치복 지부장 2015.04.08 5264
100 인공위성을 관측해 보세요. 2 file 원치복 지부장 2013.12.22 5367
99 텍스트를 그림으로 file 김주영 2009.09.10 5371
98 2012년 일식, 금성 태양면 통과, 월식 자료입니다. 1 file 원치복 2012.01.15 5394
97 드디어 과학기술 2차 로드맵이 나왔네요. 박종현 2007.12.21 5445
96 Lovejoy 혜성 찾아가기 file 원치복 지부장 2015.01.07 5453
95 오피스 2007을 읽을 수 있게 해줍니다. 김주영 2009.04.21 5466
94 12월 24일 동방박사 별을 찾아보세요 3 file 원치복 지부장 2014.12.19 5470
93 Stellarium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 찾아보기 2 file 원치복 지부장 2013.12.28 5471
92 별의 크기 1 박종현 2008.04.29 54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