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274
  • 2480372
유태엽 부지부장2012.11.09 19:59

조강욱 차장님

 

11월은 조차장님에건 무척 바쁜 달인 것 같습니다. 대전 학생천체관측대회 본선 심사도

하시고, 다른 연수도 끝내셨고, 회사일로 유럽출장도 다녀오시고, 다음주엔 호주까지

가시니 제가 겉으로 보기에도 숨 가쁩니다.

런 와중에도 재미있는 장문의 댓글 올려주시어 대단히 감사합니다.

정성스런 댓글 주시었으니 순서를 좀 바꾸어 아는 만큼만 회신 드립니다 ^^

 

1) G1

 

지난 주말 대전에서 김경식 이사님의 <깡패 돕>으로 안드로메다 은하 잠깐 보았었는데,

G1 도 찾아 볼 걸 그랬습니다. 응시자들 때문에 제 생각할 겨를이 없었는데 지나고 보니

안타깝네요. 조차장님 돕도 그 세계에선 알아주는 구경이니 나중에 한번 G1 보여 주세요.

 

2) 오메가 센터우리

 

조 차장님 댓글 보고 바로 본문 수정해 놓았습니다.  사실 본문에 글 올린 이후 일주일간은

평균 10번은 다시 들어가서 오타, 오류, 보충설명에 대해 수정합니다. 아무래도 안시 부분

쓸 때는 미리 조차장님 <감수>를 거쳐야 할 것 같습니다. 나중에 필요할 때 요청 드릴 테니

도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북한의 천문용어

 

북한이 사용하는 다른 일반 용어들에 비해 의외로 천문용어들은 깔끔하고 예쁘더군요.

저는 유성을 별찌로 부르는 것이 특히 맘에 듭니다. 유성우가 별찌비인 것도 예쁘고

그런데 성단이 별떼이면 별떼 à 벌떼 à 땡삐 로 잘못 불릴까 우려되기도. ^^

 

하여간 조그만 나라에서 남북한이 서로 먼저 해 놓은 말은 서로 사용하지 않으니

좀 답답한 현실입니다. 영어 People 의 정확한 뜻으론 인민” 이 적당한데, 이 말을 안쓰고

국민이라고 불러야 하니까 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같은 말인 경우,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반드시 보충설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4) 동반성과 이중성

 

문의하신 것에 대해 아는 대로만 언급 드리려 합니다.

 

상호 질량 중심 (Barycenter)을 공전하는 상호 중력작용 이중성 (Binary Star) 인 경우,

크기에 관계없이 온도가 높고 밝은 별을 <주성 Primary Star>이라 하고,

온도가 낮고 어두운 별을 <동반성 또는 반성 Companion Star> 이라 합니다.

 

만일 두 별이 서로 공전하면서 동반성이 주성 앞을 가리며 공전하면 주성의 광도가

주기적으로 변하는데, 이런 경우를 <식변광성 Eclipsing Variable> 이라고 합니다.

Perseus 자리의 Algol 변광성이 이중성이면서 변광성인 예입니다.

본문에서 예를 든 북극성 Polaris A는 주성이 되고, Polaris Ab 는 동반성이 되겠네요.

 

5) 이중성 및 다중성 번호 구분 

 

 1. 일반적인 번호 구분

 

 a) 일반적인 방법은 말씀하신대로 영어 대문자 A, B, C, D 로 구분합니다.

    예를 들면 Polaris A, Polaris B 입니다.

    만일 Polaris AB 처럼 AB 를 같이 쓰면 두 별을 같이 나타내서 이중성임을 표시합니다.

   언급하신대로 Sirius A, Sirius B 는 맞는 표기입니다.

 

 b) 그런데 기존의 이중성에서 또 다른 작은 별이 발견되면 그 별에서 가까이 있는 별 이름에

   영어 소문자 a,b,c,d 를 붙입니다. 그러나 A 가까이 있는 새로운 별은 a 로 쓰면 같은 문자가

   중복되므로 Ab 로 씁니다.  B 별 가까이 있는 새로운 별은 Ba 가 될 것입니다.

   예를 들면 Polaris A 옆에 새로 발견 된 작은 별은 Polaris Ab 로 표시합니다.

 

2. Tokovinin 의 번호 구분

 

이 사람은 숫자로 구분하기도 했습니다. 본문에서 간단히 언급드린 Crux (남십자자리)

알파별을  α¹ Crucis   α² Crucis 로 쓰기도 합니다 

별에 딸린 하부 별들은 아래 그림처럼 11, 12 등으로 표시한다네요.

 

               조강욱 Tokovinin.png 

 

아무쪼록 다음주 호주 잘 다녀오시고, 나중에 <옹근해가림 개기일식의 북한식 용어>

황홀경 얘기 기대합니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크기 제한 : 2.00MB (허용 확장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