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258
  • 2480356
유태엽 부지부장2012.04.13 03:38

조강욱 차장님

 

상세한 댓글 대단히 감사합니다. 특히 오류를 지적해 주셔서 더욱 고맙습니다.

본문 오류 내용을 올바르게 수정해 놓았습니다. 아래에 언급해주신 내용별로 간단히 회신

드립니다.

 

1) 달 분화구 :

말씀하신대로 일본어 번역이겠네요. 충돌분화구 말고, 언급해주신 것처럼 진짜 분화로

생긴 것이 있는지 시간 두고 알아 보아야겠습니다.

 

2) 외곽고리란 단어 :

이것은 Rim Ring이 우리말로 적당히 번역된 단어를 찾지 못해 제가 임의로 번역한

말입니다. 따라서 내용에 외곽고리 (Rim / Ring)”이라고 표시해 놓았습니다. 영어의 Rim

Ring 도 정확한 구별 없이 사용되는 듯 보입니다. 혹시 두 단어의 정확한 차이점이 있는지

아시는 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M95 내부의 초신성 :

제가 해외뉴스를 번역하면서 오류가 있었습니다. 오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금년 처음 발견된 초신성은 저의 번역 오류입니다.  

   몇가지 뉴스 Source를 참조 했는데, 제가 다른 사항과 혼동했었습니다. 

   주로 참조한 320일자 해외뉴스는 다시 찾아보니 내용이 삭제되어 있네요.

 

 2. “매년 초신성이 5~6개씩 발견된다고 적었으나, 이것도 저의 번역 오류입니다. “

  . “SN2012aw” 에 대해선 뉴스항목이 삭제되어 있어 다시 확인하지는 못하지만 맞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시간을 갖고 다시 찾아보겠습니다.

   100 % 신뢰할 수는 없으나, Wikipedia 에는 아래와 같은 말이 있었습니다.

   매년 초신성은 수백개씩 발견된다.( 2007 572,  2008 261,  2009 390개 등)”.

  

  따라서 번호가 aw이므로 A~Z까지 26개에다가 aa~aw까지 23개를 합하면 2012년 들어

  49번째 발견된 것이 되겠네요. 매년 수백개씩 발견된다 하므로 317일 정도면 49번째는

  충분히 될 것 같습니다.

 

4) 발견되는 천체의 Naming Rule :

   좋은 말씀이십니다. 저도 공부할 겸 시간을 갖고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GC 3115 도 좋아하시는 대상이시군요. 은둔거사라는 말은 제가 갖다 붙인 말인데, 강호고수가

은둔거사 알아 주시니 반갑습니다 ^^  

앞으로도 오류 많이 지적해 주십시오. 항상 관심있게 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크기 제한 : 2.00MB (허용 확장자 : *.*)